

레퍼런스가 궁금하다고 할수 있습니다만 몇년간 사용하는 회사도 존재하며 DDOS 방어까지 겸비한 웹사이트 운영하는 콘텐츠 서버도 이 구성에 많은 이점을 보고 있습니다.

제2의 비엔지니어 인생관을 꿈꾸며
Integration Services 2.1에서 개선된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Synthetic 장치에 대한 드라이버 지원: Hyper-V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콘트롤러, 저장소 콘트롤러 드라이버를 제공합니다.
2.Hyper-V에 대한 빠른 부트 장치 지원(한번에 리부팅 안되던 문제가 있었었습니다.)
3.시간 동기화(이것때문에 1분에 한번씩 시간동기화 배치를 걸었습니다)
4.Hyper-V 관리자 또는 SCVMM에서 동작중인 VM의 시스템 종료 지원
5.Symmetric Multi-Processing (SMP) 지원: 가상 머신당 4개까지의 가상 프로세서를 지원합니다.
6.하트비트: 게스트 가상 머신의 동작 여부를 호스트 머신에서 체크 지원합니다.
7.장착 가능한 시간 소스: 게스트 가상 머신에 보다 정확한 시간 소스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 가능한 시간 소스를 제공합니다.PDF에 나온 설명데로 한방에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Hyper-V에 리눅스를 올리는건 일반인들 한테는 그리 쉽지 않을거라는 판단이였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버젼이 나오면서 VMWare 통합 드라이버처럼 한방에 설치되게 나와서 많이 편해지고 CPU 설정도 4개까지 지원되어 성능도 많이 빨라지게 되었습니다.
여러가지 불편했던 사항들이 이번버젼에 말끔히 해결해준듯 싶습니다.
다른 OS계열은 어떤지 모르겠습니다만 CentOS 계열인 SULinux x64 버젼에서는 아무 문제없이 더 잘돌아가고 있습니다.
예전엔 Xen 커널을 올려야 하고 업데이트하고 이래저래 해야할게 많아서 많이 까탈스러웠습니다. 안하고 말지라는 생각을 하게끔 했었지만 이젠 그런 고민을 할 필요가 없어졌네요. 리눅스 부하주니 95% CPU 사용율을 잠깐 봤는데 4CPU 제대로 사용하는거 같습니다. 이제 Hyper-V가 점점 좋아지고 있네요.
많은 우여곡절 끝에 드디어 Hyper-V에 그토록 그리던 SULinux를 올렸다는게 많이 뿌듯했습니다. 그전엔 서버코어버젼에 윈도우 아파치를 운영할까 하는 고민도 많이 했었습니다. 윈도우 아파치도 많이 안정적이여서 불편한건 하나도 없었습니다. 단 빠릇빠릇한건 리눅스 쪽이 우세하였습니다.
IIS7에서 PHP MySQL 을 운영함에 있어서 문제되거나 안정성에는 전혀 손색이 없었지만 일부 모듈 호환이나 플러그인이 동작하지 않는 불편함이 계속되었습니다. 피드백을 해줄수 없는 환경이라 아파치로 전환할수 밖에 없었던 현실이여서 필자가 계속 고민끝에 가상화에 리눅스를 올리고 백업이나 잘하자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리눅스는 가상화에 CPU 1개만 할당된다고 가이드에 나왔습니다. 2개를 부여한다고 해도 처리를 하나만 한다고 합니다. 64비트는 2개까지 되는거 같았습니다. 쿼드코어에 2개를 부여했더니 49%까지 사용율을 보였습니다.이게 그냥 눈에 보이는 수치인지 실제적으로 제대로 처리를 하는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일단 보여지는것은 이렇게 나왔습니다. 1개보단 2개 부여할때가 훨씬 빨라졌다는걸 느꼈으니 그런가보다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젠 Hyper-V에 리눅스가 부하를 먹어도 죽지않고 잘견딜수 있다면 더이상 실머쉰에서 운영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콘솔모드밖에 없는 상태를 원격에서 봐줄수는 없으니 가상화를 이용한 멀티 OS관리를 이용하는것이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결론을 내려봅니다.
VMWare가 빠르다?라는 분 계실지 모르겠지만 전 Hyper-V가 빠른거 같았습니다.
ISA2004를 앞단에 놓구 가상화서버를 뒷단에 골고루 웹서버 DB서버를 운영하니 많이 편했습니다. ISA단에서 리눅스 웹퍼블리시까지 하고 기본 필터링이 된다면 어느정도 보안에도 유지가 되니 관리나 보안상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앞으로는 가상화가 뭐가 좋다 나쁘다라기 보단 적은비용에 고효율을 배출할수 있는 기반이 좋다는걸 말하고 싶습니다. 돈많은 회사나 비싼 제품 사용하겠지만 그렇다고 MS제품이 비교적 많이 저렴하다 하여 제품이 부족한건 전혀 아닙니다. 자신이 사장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일편하게 할려고 비싼제품 구입하는것보단 적은비용에 많은 이점이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것이 그 회사에 필요한 인물이 되는것입니다.
귀찮으면 그냥 이더넷 에뮬 방식으로 사용해도 그다지 별 영향은 없는거 같았습니다. 성능은 어떨지 테스트까진 해보지 않았습니다.
내 CPU는 윈도 7 가상화 지원하나?
오래된 XP 프로그램과의 호환성 문제를 가상화(Virtual PC)로 해결하는 윈도 7 'XP 모드'는 당연히 CPU에서 기술 지원이 필요하고 바이오스에서도 활성화되어야 합니다.
근데 문제는 복잡한 CPU 라인업만큼이나 가상화 지원도 천차만별인데요. 예컨대 인텔 코어2듀오인 E8500은 가상화를 지원하지만 이보다 비싼 코어2쿼드 Q8200은 가상화를 지원하지 않는 등 무조건 비싼 CPU를 산다고 가상화 지원이 되지 않습니다.
내 CPU는 최신 제품이니까 가상화를 지원하고 XP 모드를 돌릴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은 금물이라는 말입니다. 혹시 윈도 7의 가상화 모드를 염두에 두고 CPU를 구입할 예정이라면 아래 테이블을 참조해 주세요.
예상이지만 'Vista Capable' 로고 사건처럼 또 한번의 소비자 혼란과 법정 싸움이 올지도 모르겠습니다.
코어2듀오
E4300/4400/4500/4600/4700 NO
E6300/6320/6400/6420/6540/6550 YES
E6600/6700/6750/6850 YES
E7200/7300/7400/7500 NO
E8190 NO
E8200/8300/8400/8500/8600 YES
코어2익스트림
QX6700/6800/6850 YES
QX9650/9770/9775 YES
X6800 YES
코어2쿼드
Q6600/6700 YES
Q8200/8200S/8300/8400/8400S NO
Q9300/9400/9400S YES
Q9450/9550/9550S/9650 YES
코어I7/코어I7익스트림
I7-920/940 YES
I7-965 YES
펜티엄D/펜티엄EE
805/820/830/840 NO
915/925/935/945 NO
920/930/940/950/960 YES
955/965 YES
펜티엄
E2140/2160/2180/2200/2220 NO
E5200/5300/5400 NO
코어2듀오 모바일
L7200/7300/7400/7500 YES
P7350/7450 NO
P7370 YES
P8400/8600/8700/9500/9600 YES
SL9300/9400/9600 YES
SP9300/9400/9600 YES
SU9300/9400/9600 YES
T5200/5250/5270/5300/5450/5470 NO
T5500/5600 YES
T5550/5670/5750/5800/5850/5870/5900 NO
T6400/6570 NO
T7100/7200/7250/7300/7400 YES
T7500/7600/7700/7800 YES
T8100/8300 YES
T9300/9400/9500/9550/9600/9800 YES
U7500/U7600 YES
코어2익스트림 모바일
QX9300 YES
X7800/7900 YES
X9000/9100 YES
코어2쿼드 모바일
Q9000 YES
Q9100 NO
코어2솔로
SU3300/3500 YES
U2100/2200 YES
코어듀오
L2300/2400/2500 YES
T2050/2250 NO
T2300/2400/2500/2600/2700 YES
T2300E/2350/2450 NO
U2400/2500 YES
코어솔로
T1300/1400 YES
T1350 NO
U1300/1400/1500 YES
AMD CPU도 인텔과 마찬가지로 AMD-V 기술 지원이 필요합니다. 현재 애슬론64와 애슬론X2 F와 G 패밀리(소켓 939가 아닌 AM2 기반), 튜리온 64 X2, 옵테론 2세대와 3세대 모델, 트리플 및 쿼드코어 페넘, 그리고 최근에 나오는 모든 프로세서에서 AMD-V 기술을 지원합니다. (샘프론 프로세서는 제외)
AMD에서는 2006년 5월 23일 AMD-V를 지원하는 최초의 CPU로 애슬론64 올리언즈와 애슬론64 X2 윈저, 애슬론64 FX 윈저 모델을 내놓았고 이전의 모델들은 AMD-V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가상화 유무 테스트
심현 버즈리포터
더 보기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 ··· ytqn3eet
Hyper-V 지원되는 CPU 지원리스트를 찾다가 이 기사를 복사하여 왔다. securable.exe